주택공간에 따른
리모텔링 비용
리모텔링 비용
주택을 구입하거나 판매할 때 대부분의 사람들이 가장 관심을 갖고 살펴보는 것 중에 하나가 바로 해당 주택의 리모델링(또는 레노베이션) 정도일 것입니다.
판매하려는 사람의 입장에서는 주택의 가치를 높임으로써 보다 높은 가격을 제시할 수 있고, 사려는 사람의 입장에서는 해당 주택을 구입한 후에 노후된 시설들을 새것으로 교체하는 수고로움 없이 편리함과 안전함을 함께 구입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아시는 분들은 아시다시피, 이 리모델링 비용은, 어떤 자재를 어떻게 누가 하는냐에 따라서 천차만별로 차이가 납니다.
그래서 오늘은, 아주 정확한 수치는 사례에 따라 다를 수 밖에 없겠지만, 주택을 구입하거나 리모델링 후에 주택을 판매하는 Buyer 또는 Seller에게 대략적인 가이드라인을 알려드리고자 아래와 같이 정리했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거실(Living Room)
주방이나 화장실과 달리 상하수도 시설이나 가스관 시설과 관련된 공사가 없기 때문에 일반인들도 조금만 경험이 있으면 손쉽게 할 수 있고, 그래서 비용도 저렴한 편입니다.
2) 주방(Kitchen)
평균적으로 가장 많은 공사비용을 차지하는 공간으로, 공사규모와 사용자재 등에 따라 공사비에 차이가 많이 발생합니다.
특히, 공사비 중에서 인건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다른 주택공간 보다 특히 높기 때문에 손재주가 있는 분들이라면 본인이 상당 부분은 직접 공사함으로써 비용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3) 바닥(Hardwood Floor)
이 비용은 바닥을 다시 까는 것이 아닌, 표면을 정리하는 작업을 기준으로 계산한 경우입니다.
리모텔링을 직접 해본 경험이 있으면 어려운 작업을 아니지만, 공사 비용에 비해서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경우에 따라서는 교체하는 것이 더 효율적일 때도 있습니다.
4) 침실(Bedroom)
침실의 경우, 거실과 비슷한 수준의 비용과 난이도이지만, 밑의 비용산출은 창문교체, 몰딩(Molding)설치, 단열재 보충, 조명 시설 교체 및 관련전기 시설 수리 등의 공사가 포함된 비용이다.
5) 화장실(Bathroom)
주방과 함께 가장 공사비용이 높고 가격도 천차만별이다. 게다가 배관에 관련된 부분은 잘못 시공하게 되면, 장기적으로 누수가 발생해서 주택가치에 치명적인 문제점을 야기시킬 수도 있다. 경험이 없다면, 전문시공업체에 문의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6) 지하실(Basement)
경우에 따라서는 바닥재 설치, 석고벽 설치 등 새로 집을 지을 때와 비슷한 공사가 실시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평균적으로 주방의 리모델링 다음으로 높은 비용이 발생되면, 때로는 상황에 따라서 훨씬 많은 비용이 청구될 수 도 있다습니다.
7) 세탁실(Laundry Room)
8) 실내 계단(Interior Staircase)
위의 8개 주택공간들의 공사비용 합계를 보면, 위와 같이 $77,630 ~ $125,540 정도가 발생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니다.
즉, 최소한 7만불은 소요되어야 일단 겉으로 보기에 리모델링했다고 판단할 수 있는 결과가 있을 것입니다.(물론 본인이 직접한다며 더 많이 절약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만….).
다시 말하면, 주택을 판매할 때 Seller가 기본적으로 대략 7만불을 투자해서 리모델링을 했다고 치면, 해당 주택의 시장가치와 투자된 7만불의 가치가 합계되어 얼마만큼 가치가 상승했는지 비교할 수 있을 것입니다.(당연히 이외에 비교분석해야 할 더 많은 자료들이 있지만, 일단 육안으로 보이는 것만 비교했을때는…)
지금까지 주택을 판매할 때, 많이 공사하는 공간들을 중심으로 발생되는 비용들에 대해서 알아 보았습니다.
위의 내용은 주택 안을 리모델링할 때의 비용을 산출한 것이고, 만약 집 밖의 차고, 지붕, 수영장, 뒷마당 등도 리모델링에 추가할 경우, 비용은 훨씬 더 높아 질 것입니다.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